티스토리 뷰


부동산은 보유하고 있다면 필수로 확인해야할 종합부동산세. 종합부동산세는 고액의 부동산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특히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계산되므로,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세금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누가 종합부동산세를 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표와 함께 알기 쉽게 설명드립니다.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목차

  1. 종합부동산세란?
  2. 누가 종합부동산세를 내나요?
  3. 1세대 1주택자 혜택
  4. 주택 수 계산: 포함되거나 제외되는 경우는?
  5. 종합부동산세 세율과 계산 방법
  6. 종합부동산세 납부 일정과 꿀팁

 

1. 종합부동산세란?

간단히 말해, 고액 부동산 보유자가 내는 세금입니다. 보유한 주택이나 토지의 공시가격이 정부가 정한 기준을 초과하면 종합부동산세 대상이 됩니다. 대상은 주택과 토지로 구분되며, 과세 대상의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합니다. 주택의 경우, 일정 금액 이상(1세대 1주택 기준 12억 원, 일반 9억 원)을 초과하는 부동산 보유자에게 과세됩니다.

 

2024년 종합부동산세 요약표('24.9.19.).pdf
0.12MB

 

2. 누가 종합부동산세를 내나요?

아래 기준에 해당하면 종합부동산세 대상이 됩니다.

 

 

👉종합부동산세 자세히보기

 

 

1) 주택

주택을 소유한 사람은 주택의 공시가격 합계가 아래 기준을 넘으면 납세 대상이 됩니다.

구분 기준 공시가격 기본 공제금액
1세대 1주택자 12억 원 초과 12억 원
2주택 이상 소유자 9억 원 초과 9억 원

 

예를 들어, 12억 원짜리 집을 하나 보유하고 있다면 1세대 1주택자로서 납세 대상이 아닙니다. 그러나 집이 두 채 이상이라면 기준 금액이 9억 원으로 낮아져 종합부동산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주택의 가격이 매매가가 아니라 기준 공시가격이라는점 입니다.

 

2) 종합합산토지

농지, 임야 같은 토지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공시가격 합계가 5억 원을 넘으면 종합부동산세를 내야 합니다.

종합합산토지의 예 : 나대지, 농지, 임야 등 (재산세 제외 대상 아님)

 

3) 별도합산토지

상업용 건축물의 부속토지나 물류단지 같은 토지는 별도로 계산합니다. 이 경우, 공시가격 합계가 80억 원을 넘으면 대상이 됩니다.

별도합산토지의 예 : 상업용 부속토지, 물류단지시설용 토지 

3. 1세대 1주택자 혜택

1세대 1주택자는 12억 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어 다른 유형보다 혜택이 큽니다. 게다가 세금 계산 시 연령이나 보유 기간에 따라 추가 공제도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 공제율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공제 기준 공제율
연령 공제 60세 이상: 20%
65세 이상: 30%
70세 이상: 40%
보유 기간 공제 5년 이상: 20%
10년 이상: 40%
15년 이상: 50%

 

예를 들어, 65세 이상이고 집을 10년 넘게 보유한 경우, 총 70%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주택 수 계산: 포함되거나 제외되는 경우는?

모든주택이 다 종합부동산세 대상이 되는것은 아닙니다. 아래 케이스를 참고하세요.

포함되는 경우

  • 공동 소유 주택: 지분만 가지고 있어도 주택 수에 포함됩니다.
  • 상속받은 주택: 일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제외되는 경우

  • 임대주택: 합산 배제 신고된 임대주택
  • 상속주택: 일정 조건 충족 시 제외
  • 농어촌 저가주택: 수도권 외 저가주택(공시가격 3억 원 이하)

5. 종합부동산세 세율과 계산 방법

종합부동산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세율은 과세표준(공시가격 - 공제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1세대 1주택자와 다주택자의 세율은 다르므로 아래 표를 참고 하세요. 

과세표준 1세대 1주택자 세율 다주택자 세율
3억 원 이하 0.5% 0.5%
6억 원 이하 0.7% 0.7%
12억 원 이하 1.0% 1.0%
25억 원 이하 1.3% 2.0%
50억 원 이하 1.5% 3.0%
94억 원 이하 2.0% 4.0%
94억 원 초과 2.7% 5.0%

 

 

6. 종합부동산세 납부 일정과 꿀팁

매년 12월은 종합부동산세 납부를 해야하는 시기입니다.  납부는 홈택스나 손택스에서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홈택스 바로가기

 

납부 일정

종합부동산세는 12월 1일~15일 사이에 납부해야 합니다. 납부 금액이 250만 원을 넘으면 일부를 나눠 낼 수도 있습니다.

납부 팁

  1. 합산 배제 신고 활용: 임대주택 등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합산 배제 신고를 통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공시가격 확인: 매년 공시가격이 변동되니 국토교통부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전문가 상담: 복잡한 계산이 어렵다면 세무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종합부동산세 납부대상과 함께 납부기준, 납부 일정을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종부세 대상이라면 세금을 미리 확인해서 준비하세요~

 

 

 

SCHD 란? 슈드 구성과 장단점

미국주식 , ETF, 배당주와 같은 키워드에 꼭 따라다니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슈드 (SCHD)인데요, SCHD란 무엇이며 SCHD투자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자세히 정리 했습니다.슈드가 궁금하시다면

damd.tistory.com

 

TDF란? TDF 장단점 제대로 알자

퇴직연금, 연금저축에 가입했다면 한번쯤 들어봤을 TDF. TDF란 무엇이며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자세히 정리 했습니다.TDF란? TDF는 타겟 연도를 설정해 해당 연도에 맞춰 자산 배분을 자동으로

damd.tistory.com

 

빗썸 거래소 거래 방법

빗썸은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를 거래할수 있는 대표적인 거래소중 한곳이죠. 빗썸 거래소를 통해 거래하는 방법을 자세히 정리 했습니다. 우리가 주식거래를 하려면 해당증권사의 계좌를

damd.tistory.com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