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매년 복잡하게 변경되는 세율 자세히 알고 계시나요? 세금 정책은 해마다 조금씩 바뀌는데다 증여세에 관해서는 매년 새로운 정책이 나오고 있어서 현시점의 증여세를 정확히 알고 있기란 쉽지 않죠.
2024년 새롭게 바뀐 증여세 면제 한도액 자세히 정리 했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최신 증여세 면제 한도액과 증여 꿀팁을 알 수 있으니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재산을 주고 받는 관계에 따라 증여세 면제한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2024년부터는 혼인·출산에 따른 증여재산 공제가 새롭게 도입되어 최대 3억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 증여세 면제한도 종류
현재 적용되고 있는 증여세 면제 한도는 이렇습니다.
- 배우자: 6억 원
-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 5천만 원
- 직계비속(아들, 딸, 손자 등): 5천만 원
- 혼인·출산 증여재산 공제: 1억 원
- 미성년자 자녀: 2천만 원
- 기타 친족: 1천만 원
면제받을 수 있는 한도 내에서는 증여세를 신고하지 않아도 됩니다. 증여세 면제한도는 10년 단위로 계산되므로, 여러 차례 증여를 받더라도 한도 내에서 면제됩니다.
혼인·출산 증여재산 공제 추가
2024년 1월 1일부터 도입된 혼인·출산 증여재산 공제는 직계존속으로부터 5천만 원을 이미 받았더라도 1억 원까지 추가로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혼인신고일 이전 2년부터 이후 2년 또는 자녀의 출생일(입양의 경우 입양신고일)부터 2년 이내까지 적용되며, 중복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증여세 세율
증여받은 금액에 따라 세율이 적용됩니다.
- 1억 원 이하: 세율 10%, 누진공제액 없음
- 1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세율 20%, 누진공제액 1천만 원
-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세율 30%, 누진공제액 6천만 원
- 10억 원 초과 ~ 30억 원 이하: 세율 40%, 누진공제액 1억 6천만 원
- 30억 원 초과: 세율 50%, 누진공제액 4억 6천만 원
증여세 절감방법
증여세를 절감하기 위한 꿀팁 입니다.
1. 분산 증여로 세금 아끼기
증여세 부과를 피하려면 10년 주기로 자산을 증여해보세요. 동일인에게 10년이 지난 후 추가 증여는 과세가액에 가산되지 않습니다.
2. 증여자·수증자 분산 활용
동일인이 아닌 자로부터 증여받으면 절세가 가능합니다. 즉 증여를 할때 조부모와 부모가 각각 증여하면 합산 과세되지 않습니다.
3. 혼인증여재산 공제 활용
자녀가 결혼 전이거나 혼인을 한 경우, 부모가 1억까지 혼인증여재산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분산증여로 세율 최소화
세율 구조를 고려해 10년 단위로 최대한 적은 금액을 증여하면 증여세 부담을 최소화하고 상속세 부담도 줄일 수 있습니다.
5. 수증자 달리하여 분산증여
수증자를 달리하여 증여하면 각각에 대해 합산 과세되지 않고 세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며느리나 손자·손녀에게 증여하면 세금을 아낄 수 있습니다.
6. 혼인증여재산 공제와의 연계
2024년 새롭게 신설한 혼인증여재산을 활용해 공제를 함께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 신혼부부가 각각 5천만 원의 기본공제와 1억 원의 혼인공제를 받는 경우, 최대 3억 원까지 증여세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증여세 신고방법
재산 증여를 받을 때에는 증여세를 신고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아래는 증여세 신고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1. 신고 기한 엄수
증여를 받았을 경우, 신고 기한을 엄수해야 합니다. 증여 일이 속하는 달의 말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기한을 넘기면 무신고·과소신고기간세와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신고 기한을 주의깊게 지켜야 합니다.
2. 면제한도 확인
증여세에는 면제한도가 존재합니다.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 간의 관계, 그리고 혼인·출산에 따른 공제 등에 따라 면제되는 금액이 달라집니다. 증여를 받을 때에는 어떤 경우에 면제될 수 있는지 정확히 확인하고 신고해야 합니다.
3. 정확한 신고 정보 입력
증여세 신고 시에는 정확한 정보 입력이 중요합니다. 주민등록번호, 주소, 관계 등의 정보를 정확히 기입하여야 하며, 신고 과정에서 생기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중히 작성해야 합니다.
4. 신고 방법 숙지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는 간편하게 증여세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 현금 증여 간편신고, 정기 신고, 기한 후 신고 등 다양한 방법이 제공되므로 상황에 맞게 적절한 신고 방법을 선택하고 숙지해야 합니다.
이렇게 증여세 면제 한도액과 함께 증여세 주의 사항을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 이런글도 읽어보세요.
엔화 환전 싸게 하는 방법
엔화 환전 싸게 하는 방법 요즘 뉴스에서 연일 엔화하락 소식이 전해지고 있죠. 이런 뉴스때문인지 부쩍 엔화 환전에 관심이 많아진걸 느낍니다. 엔화 환전을 해주는 시중의 은행은 정말 다양합
damd.tistory.com
NH투자증권 배당금과 배당일 배당락 총정리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배당금이 나오는 주식을 골라서 투자를 하는경우가 있습니다.증권사들은 대부분 고정적으로 배당금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NH투자증권 배당금과 함께 배당일, 배
damd.tistory.com
KTX 경로우대할인
KTX 경로우대할인 받는 방법 부모님 대신 기차를 예매하려고 보니 ktx는 경로우대 할인이 있네요. 아빠가 경로우대 대상이신데 그동안 할인도 안받고 기차를 이용한게 너무 아까움! 생각보다 많
damd.tistory.com
포스코홀딩스 배당금
매년 연말이면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죠. 오늘은 그중 하나인 포스코홀딩스의 배당 히스토리를 정리해 봤습니다.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5년간 얼마의 배당금을 지급했는지, 배당수익률은
damd.tistory.com
오늘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증여세 이해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한투자증권 공모주 청약방법 (0) | 2024.02.14 |
---|---|
에이피알 공모주 수요예측결과 25만원 확정 (0) | 2024.02.13 |
워크넷 구인구직 홈페이지 바로가기 (0) | 2024.02.01 |
에이피알 공모주 청약의 모든것 이건 꼭 체크하세요! (0) | 2024.02.01 |
2024년 2월 공모주 청약일정 이건 꼭 알고 가자!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