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5년 기준중위소득이 발표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사회복지 정책과 급여 기준이 새롭게 조정되었습니다. 기준중위소득은 국민 기초생활 보장 제도와 여러 사회복지 제도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지표로, 매년 변동되는 이 수치는 저소득층의 생활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중위소득과 이를 기반으로 한 급여별 선정기준, 그리고 그에 따른 급여 변동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
2025년 기준중위소득 개요
올해보다 6.42% 인상된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609만 7,773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몇 년 간 지속된 인상률 중 가장 높은 수치로, 저소득층의 생활 향상을 목표로 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기준중위소득은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뿐만 아니라 13개 부처에서 진행하는 74개의 사업에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이는 각종 급여 지급 기준이 되는 중요한 수치입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아래는 2024년과 2025년의 기준중위소득을 비교한 표입니다.
가구원 수 | 2024년 기준중위소득 | 2025년 기준중위소득 |
---|---|---|
1인 가구 | 2,228,445원 | 2,392,013원 |
2인 가구 | 3,682,609원 | 3,932,658원 |
3인 가구 | 4,714,657원 | 5,025,353원 |
4인 가구 | 5,729,913원 | 6,097,773원 |
5인 가구 | 6,695,735원 | 7,108,192원 |
6인 가구 | 7,618,369원 | 8,064,805원 |
2025년 급여별 선정기준표
2025년 기준중위소득을 바탕으로 한 급여별 선정기준도 결정되었습니다. 선정기준은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로 구분되며, 각 급여는 기준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을 기준으로 합니다.
가구원 수 | 교육급여(50%) | 주거급여(48%) | 의료급여(40%) | 생계급여(32%) |
---|---|---|---|---|
1인 가구 | 1,196,007원 | 1,148,166원 | 956,805원 | 765,444원 |
2인 가구 | 1,966,329원 | 1,887,676원 | 1,573,063원 | 1,258,451원 |
3인 가구 | 2,512,677원 | 2,412,169원 | 2,011,141원 | 1,608,113원 |
4인 가구 | 3,048,887원 | 2,926,931원 | 2,439,109원 | 1,951,287원 |
5인 가구 | 3,554,096원 | 3,411,932원 | 2,843,277원 | 2,274,621원 |
6인 가구 | 4,032,403원 | 3,871,106원 | 3,225,922원 | 2,580,738원 |
주요 급여별 변경 사항
- 생계급여: 2025년 기준 생계급여 선정기준은 4인 가구 기준 195만 1,287원으로, 이는 2024년 대비 6.42% 인상된 금액입니다. 1인 가구 기준으로는 76만 5,444원이 되어, 전년도보다 7.34% 인상되었습니다.
- 의료급여: 의료급여는 합리적 의료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기존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개편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1인 가구의 의료급여 선정기준은 95만 6,805원으로, 전년도 대비 7.34% 인상되었습니다.
- 주거급여: 임차가구를 위한 기준임대료는 급지와 가구원수에 따라 1.1만 원에서 2.4만 원까지 인상되었습니다. 자가가구에 대한 주택 수선비용도 대폭 인상되었습니다.
-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는 전년도 대비 약 5% 인상되어 초등학생은 48만 7,000원, 중학생은 67만 9,000원, 고등학생은 76만 8,000원이 지원됩니다.
이번 2025년 기준중위소득 인상은 저소득층의 생활 향상을 위해 마련된 제도 개선의 일환으로, 특히 생계급여와 관련된 개선 사항들이 눈에 띕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재산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가구가 생계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노인의 근로소득 공제 대상 연령이 65세 이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노인층의 경제적 자립이 더욱 장려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 인상과 함께, 다양한 복지 제도들이 보다 폭넓게 적용됨으로써 약 7만 1천 명이 새롭게 생계급여 수급자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저소득층의 생활 안정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상품명 의미와 구분방법 (19) | 2024.08.16 |
---|---|
아이스크림미디어 공모주 청약 핵심정리 (3) | 2024.08.16 |
OBV 지표 보는 방법과 활용법 (0) | 2024.08.14 |
미국주식 사는법 (1) | 2024.08.12 |
전진건설로봇 공모주 청약 핵심정리 (15) | 2024.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