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식거래를 하거나 회사 분석을 하다보면 EPS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EPS란 무엇인지 , EPS를 계산하는 방법과 EPS를 통한 종목 분석법을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EPS란?
EPS(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는 기업이 한 회계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EPS는 주주가치의 기본적인 척도로 간주되며,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 잠재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EPS를 통한 종목 분석법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투자 매력도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EPS의 정의
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기업이 주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익의 양을 나타냅니다. 순이익은 기업의 총수익에서 운영 비용, 세금, 이자 등 모든 비용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 실제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주주 가치를 얼마나 증가시키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기업의 순이익: 기업이 한 회계 기간 동안 벌어들인 총 이익에서 운영비용, 세금, 이자비용 등을 모두 제외한 금액입니다.
- 우선주 배당금: 순이익에서 우선주에 대한 배당금을 제외해야 합니다. 이는 EPS를 계산할 때 오로지 보통주 주주의 이익만을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 평균 발행 주식 수: 분석 기간 동안의 평균 발행 주식 수를 사용합니다. 주식의 분할이나 병합 등으로 주식 수가 변동한 경우, 이를 반영한 평균치를 사용합니다.
EPS 계산 방법
EPS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기순이익- 우선주 배당금을 뺀 금액을 평균 발행주식수로 나누면 EPS가 계산 됩니다.
기본 EPS계산

여기서 당기순이익은 해당 회계 연도의 순이익이고, 우선주 배당은 우선주 주주들에게 지급된 배당금을 의미합니다. 평균 보통주 주식수는 해당 기간 동안의 평균 발행 주식 수입니다.
희석EPS 계산
희석 EPS는 전환 가능한 증권이 실제로 주식으로 전환되었을 때의 EPS를 반영합니다. 이는 기본 EPS와 비교하여 보다 보수적인 수치로, 기업의 잠재적인 주식 희석 효과를 고려한 것입니다.

이런 계산식이 있다고 해서 우리가 종목별로 eps를 일일이 계산해볼 필요는 없습니다.
요즘은해당 종목의 상세페이지만 봐도 이런 수치가 기본으로 나와 있기때문이죠.
예를들어 삼성전자 EPS를 살펴보면 전년도 분기별 EPS는 206원, 228원, 810원, 887원이었습니다.



이렇게 분기별, 연간 eps수치는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우리는 이 수치에 대한 이해만 있으면 되는것입니다.
EPS를 통한 종목 분석법
투자자들은 EPS를 사용하여 기업의 주당 이익 성장률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주가가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EPS 성장률은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1. EPS 성장률
기업의 EPS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EPS 성장률이 높은 기업은 수익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장기적으로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업계 및 경쟁사 비교
동일 업계 내에서의 EPS 비교는 특정 기업의 성과를 업계 평균과 비교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경쟁사 대비 높은 EPS를 기록하는 기업은 해당 업계에서 더 우수한 수익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가격 대비 EPS(P/E Ratio)
주가수익비율(P/E Ratio)은 주가를 EPS로 나눈 값으로, 투자자가 기업의 이익 1단위를 얻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금액을 나타냅니다. P/E Ratio를 통해 기업의 주가가 현재 이익에 비해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시간에 따른 EPS 추이
기업의 EPS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경기 변동, 경영 전략의 변화, 시장 확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EPS는 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분기별 EPS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이 시즌별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일부 기업은 특정 시즌에 더 높은 수익을 내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투자 전략에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고 비교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EPS 성장률, 업계 비교, P/E Ratio, 그리고 시간에 따른 추이 분석 등을 통해 투자자는 보다 정확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다만, EPS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지 않고 다양한 재무 지표와 시장 동향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점 잊지마세요!


이렇게 EPS란 무엇인지 전체적인 정리를 해 봤습니다.
종목 분석과 개념정리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 이란? 뜻과 활용 방법 (0) | 2024.04.09 |
---|---|
BPS란? 계산법과 활용 방법 (0) | 2024.04.08 |
스팩주란? 스팩 주식 청약 장단점 (0) | 2024.04.05 |
PBR 이란? 확실히 알려드립니다. (0) | 2024.04.04 |
코칩 공모주 청약일정 핵심정리 (0) | 202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