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 예금과 정기 적금의 차이 정확히 알고 계시나요? 단순히 매월 하는 저축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예금과 적금은 납입방법과 이자를 산정하는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고 목돈을 모으기 위해 내가 어떤 상품을 가입해야 하는지 파악해 올바른 재테크를 시작해 봅시다. 예금 적금의 차이? 예금 = 목돈을 만기 날짜까지 은행에 묶어두는 상품 적금 =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는 상품 예를 들어 매월 50만 원씩 1년 동안 저축하는 상품을 가입했다면 50만 원 정기적금을 가입한것입니다. 이 정기적금 납입이 1년이 지나 600만 원(12개월*50만 원)이 모였습니다. 이 돈을 1년더 은행에 넣어놓고 이자를 받고 싶다면 600만 원 1년 정기예금에 가입하시면 됩니다. 예금의 종류 정기예금 = 일정..
주식거래를 하다 보면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EPS, PER, PBR, EV/EBITA 등 펀더멘탈 용어들을 이해하면 주식의 가치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EPS / PER / PBR / EV/EBITA 뜻 EPS (주당 순이익) 뜻 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 순이익을 의미합니다. EPS (주당 순이익) = 당기순이익 / 주식수 (보통주+우선주) 당기순이익 = 기업의 전체 수익에서 지출비용을 공제하고 남은 순 수익 당기순이익이 높아지면 EPS수 치가 높아지고, 주식 증자 등으로 전체 주식수가 많아지면 EPS의 수치는 낮아집니다. 회사의 EPS 수치를 판단할 때는 동종업계의 평균 EPS와 비교해 보는 것도 판단에 도움이 됩니다. PER (주가 수익 비율) 뜻 은 ..
주거래 은행이란? 우리는 흔히 자주 거래하는 은행을 나의 주거래은행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은행은 우대고객 항목을 통해 고객의 거래를 점수화하고, 기준 점수에 부합해야 주거래 고객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즉, 내가 자주 거래하는 은행이 아닌 은행으로부터 주거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은행이 나의 주거래 은행입니다. 주거래 고객 기준 은행마다 차이가 있지만 은행의 주거래 고객 판단 기준은 보통 아래와 같은 항목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은행거래 기간 총 예금 잔액 총 대출 잔액 외환 거래실적 급여이체 건수 주거래 이체건수 거래 기간 개월 수 가입 상품 수 특히 급여이체가 일어나는 통장의 경우 매월 입출금이 일어나고 거래가 활발한 통장을 의미하므로 대부분의 은행에서 급여이체 실적이 있을 경우 점수를 높게 책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