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소득세를 신고하다 보면 과세표준과 세율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특히, "내가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싶다면 과세표준 구간과 세율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입니다.오늘은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소득세 과세표준이란?

과세표준(과표)은 쉽게 말해 "세금을 매기는 기준이 되는 소득" 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이 5천만 원이라면 이 금액 전체에 대해 세금을 내는 것이 아니라, 필요경비나 공제 등을 제외한 금액 에 세금이 부과됩니다.
👉 과세표준 = 총소득 – 공제금액
즉,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들을 제외한 순소득이 과세표준이 되는 것이죠!
이제 이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세율이 단계별로 적용 되는데요, 아래 표를 보면서 쉽게 이해해볼까요?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및 세율
과세표준(과표) | 세율 | 누진공제 |
---|---|---|
1,400만 원 이하 | 6% | - |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 15% | 1,260,000원 |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 24% | 5,760,000원 |
8,800만 원 초과 ~ 1억 5,000만 원 이하 | 35% | 15,440,000원 |
1억 5,000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 38% | 19,940,000원 |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 40% | 25,940,000원 |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 42% | 35,940,000원 |
10억 원 초과 | 45% | 65,940,000원 |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소득세는 구간별로 나뉘어져 있고, 전체 소득에 동일한 세율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 구간별로 다른 세율이 적용 됩니다. 이걸 "누진세율 구조" 라고 합니다.
소득세 계산, 예제로 쉽게 이해하기
예제 1) 과세표준이 5,000만 원이라면?
👉 과세표준 5,000만 원이면 두 번째 구간(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세율 15%) 에 속하죠?
세금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즉, 5,000만 원 × 15% – 1,260,000원 = 6,240,000원
따라서 납부해야 할 소득세는 624만 원 입니다.
예제 2) 과세표준이 7,000만 원이라면?
이제부터 중요한 점!
소득 전체에 대해 24%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구간별로 다른 세율을 적용 해야 합니다.
✔ 1,400만 원까지는 6% 적용
✔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까지는 15% 적용
✔ 5,000만 원 초과 ~ 7,000만 원까지는 24% 적용
계산해볼까요?
✅ 첫 번째 구간:
1,400만 원 × 6% = 84만 원
✅ 두 번째 구간:
(5,000만 원 - 1,400만 원) × 15% = 5,400,000원
✅ 세 번째 구간:
(7,000만 원 - 5,000만 원) × 24% = 4,800,000원
이제 다 더하면?
84만 원 + 540만 원 + 480만 원 = 1,104만 원
그런데 여기서 누진공제(5,760,000원)를 빼줘야 합니다!
1,104만 원 – 576만 원 = 528만 원
결국, 과세표준 7,000만 원인 사람의 소득세는 528만 원 이 되는 거죠! 😊
소득세 절약하는 꿀팁!
"세율이 생각보다 높네… 절세할 방법 없을까?"
걱정하지 마세요! 아래 방법을 활용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어요.
1. 세액공제와 소득공제 적극 활용하기
- 연금저축, IRP 에 가입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보험료 공제 등을 챙기세요.
2. 배우자 및 부양가족 공제 활용
- 부양가족 (배우자, 부모님, 자녀 등)을 공제받으면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어요.
3. 종합소득세 신고 시 기장 의무 준수
- 사업자라면 장부를 작성하여 필요경비를 최대한 반영 하는 것이 유리해요.
- 무기장 가산세(20%)를 피하기 위해 간편장부라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을 이해하면 세금 계산이 쉬워지고, 절세 전략도 세울 수 있어요!
1.세율은 구간별로 다르게 적용된다!
2. 누진공제가 있어 직접 세율을 곱하는 것과 실제 세금이 다를 수 있다!
3.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잘 활용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다!
세금은 피할 수 없지만, 합법적으로 줄이는 방법은 있습니다.
소득세 신고할 때 미리 대비해서 똑똑한 절세 전략 을 세우세요!
배당소득세 줄이는 합법적인 방법
배당주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제공하는 투자 수단이지만, 배당소득세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배당금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되어 세금이 더욱 늘어
damd.tistory.com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과 꿀팁
3월이 되면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투자자 등 많은 사람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준비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신고 절차가 복잡하고,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을 모르면 불필요한 세금을 더 낼 수
damd.tistory.com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확인 방법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이죠. 저 역시 매월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고 있는데요, 종합소득세 신고를 처음하면 내가 대상자인지 아닌지 헷갈릴때가 있습니다. 이럴때 국세청을 통해 대상자
damd.tistory.com
오늘도 화이팅!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배당 ETF 선택시 고려 해야할 7가지 (1) | 2025.03.05 |
---|---|
노후준비 연금, 지금부터 시작해야 할 이유 (1) | 2025.03.04 |
MEXC 파이코인 이벤트 (2) | 2025.03.04 |
Usmca란 (0) | 2025.02.26 |
주식 선물거래 하는법 (1)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