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재테크

통장 쪼개기

신군_ 2021. 2. 25. 12:48

많은 재테크 책을 보면 공통적으로 나오는 말 중 하나가 '통장 쪼개기'입니다. 특히 이제 막 수입이 생기기 시작한 사회 초년생들에게 추천하는 통장 쪼개기! 구체적인 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

 

통장 쪼개기란?

목적에 따라 통장을 구분해서 관리하는 것을 통장 쪼개기라고 합니다.

이때 통장의 개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내가 돈을 모으고 관리하는 목적이 무엇인지를 먼저 생각하고 내 상황에 맞게 통장의 개수를 늘려 관리하시면 됩니다.

 

통장 쪼개기 방법

통장을 쪼갤 때는 기본적으로 수입 통장과 지출 통장을 나누는 게 좋습니다. 수입은 고정수입과 비정기 수입으로, 지출은 저축, 고정지출, 생활비, 비상금 등 돈의 성격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 고정수입 통장 : 월급 등 고정수입을 관리
  • 비정기 수입 통장 : 성과급, 월급 외 기타 수익을 관리
  • 저축 통장 : 매월 목표로 한 저축금액을 이체 
  • 고정지출 통장 : 공과금, 월세, 통신비 등 고정 지출 관리 
  • 생활비 : 용돈 등 한 달 생활비 관리 
  • 비상금 : 비상시를 대비한 입출금 통장 

일반적으로 통장의 구분 없이 월급통장에 카드값, 공과금, 생활비 등을 자동이체시켜놓고 통장 하나로 관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하면 나의 돈의 흐름을 정확하게 보기가 힘들어집니다. 통장을 쪼개서 관리하면 굳이 가계부를 쓰지 않아도 내가 수입 대비 얼마나 지출을 하고 얼마를 저축하고 있는지를 쉽게 알아볼 수 있고 매월 어느 부분의 돈이 과하게 지출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상금 통장 꼭 만들어야 할까?

당장 쓸 일이 없어도 비상금 통장은 만들어 두는 게 좋습니다. 갑자기 생활비보다 더 큰돈이 필요할 때 비상금이 없으면 흔히 예금이나 적금 통장을 해지하게 됩니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예적금은 중도 해지하면 이자를 거의 못 받게 되므로 되도록 해지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예상 못 한 지출로 카드값이 생활비를 넘어섰을때나 경조사가 생겼을 때 등 비상시를 대비한 금액은 어느 정도 확보해 두셔야합니다. 고정수입에서 지출의 비율을 늘려 비상금을 따로 빼기가 힘들다면 성과급이나 아르바이트 비용 등 비정기 수입이 생겼을 때 일정 금액을 비상금으로 이체해서 관리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또한 매월 생활비를 줄여 비상금을 확보하는 연습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재테크 목표를 구체화하자!

통장 쪼개기는 결국 성공적인 재테크를 위해 시작하는 기본 도구 같은 것입니다. 내가 목표한 돈을 모으기 위한 돈의 흐름을 만들기 위한 과정입니다. 막연하게 돈을 모으겠다는 목표보다 구체적으로 언제까지 얼마를 모으겠다 와 같은 기간과 금액이 설정된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통장 관리를 시작해 보세요. 이때 목표는 짧게는 1년, 길게는 중장기적으로 구체화하여 월별, 연도별 목표를 세워 두면 매월 내 통장에 얼마의 돈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 파악하기 쉬워집니다.

 

5년안에 1억 모으기를 목표로 세웠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구체적인 기간과 목표액이 설정되었으니 매월 얼마를 모아야하는지 금액을 구체화 할 수 있습니다.

5년안에 1억 모으기

매년 저축액 : 2,000만 원 목표
매월 저축액 : 166만 원 목표

목표가 구체화되었으니 고정 수입에서 저축액을 빼고 나머지 돈에서 고정지출비, 생활비 등을 설정합니다.

수입에서 가장 먼저 빼야 할 돈은 생활비가 아니라 저축금액입니다. 쓰는 습관보다 모으는 습관이 먼저 해야 돈을 모으는 연습이 길러집니다. 

 

통장 쪼개기는 같은 은행에서 해도 되고 여러 은행으로 나누어 관리해도 괜찮습니다. 요즘은 오픈뱅킹으로 인해 여러 은행의 계좌를 한번에 볼 수 있으니 내가 자주 사용하고 한번에 보기 편한 곳에서 통장을 개설하시면 됩니다. 이왕이면 고객 점수를 쌓을 수 있는 주거래 은행 을 골라서 통장 관리를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킹통장 추천  (0) 2021.02.27
예금자보호법 이해하기  (0) 2021.02.26
단리와 복리 차이  (0) 2021.02.24
예금 적금 차이 이해하기  (0) 2021.02.24
주식 용어 EPS,PER, PBR, EV/EBITA 개념 이해하기  (0) 2021.02.23
댓글